스왑 파일을 사용하면 시스템의 물리적 메모리(RAM)가 부족할 때 디스크 공간을 임시 메모리처럼 사용하여 시스템 성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. 아래는 스왑 파일을 설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한 내용입니다.
1. 스왑 파일을 저장할 디렉토리 생성
먼저, 스왑 파일을 저장할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.
mkdir /swap_tmp
2. dd 명령어로 스왑 파일 생성
dd 명령어를 사용하여 2GB 크기의 스왑 파일을 생성합니다.
여기서 bs=1024는 블록 크기를 1KB로 설정하고, count=2097152는 1KB 크기의 블록을 2,097,152번 복사하여 2GB 파일을 만듭니다.
dd if=/dev/zero of=/swap_tmp/swapfile bs=1024 count=2097152
3. 생성된 스왑 파일 권한 설정
스왑 파일의 권한을 적절히 설정하여 다른 사용자가 파일을 읽거나 쓸 수 없도록 권한을 600으로 설정합니다.
chmod 600 /swap_tmp/swapfile
4. 스왑 파일을 스왑 영역으로 설정
생성된 파일을 스왑 영역으로 설정합니다.
mkswap /swap_tmp/swapfile
5. 스왑 활성화
스왑 파일을 활성화하여 시스템이 스왑 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.
swapon /swap_tmp/swapfile
6. 스왑 파일 상태 확인
스왑 파일이 정상적으로 활성화되었는지 확인하려면 아래 명령어를 사용합니다:
swapon --show
또는 free -h 명령어를 사용하여 메모리와 스왑 사용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7. 시스템 재부팅 시 자동 활성화 설정
시스템 재부팅 후에도 스왑 파일이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/etc/fstab 파일에 추가해야 합니다.
nano나 vi 편집기로 fstab 파일을 열고
nano /etc/fstab #또는
vi /etc/fstab
파일의 마지막에 다음 줄을 추가합니다:
/swap_tmp/swapfile none swap sw 0 0
8. 스왑 비활성화 및 삭제 (선택사항)
스왑을 비활성화하려면 swapoff 명령어를 사용하고, 스왑 파일을 삭제하려면 rm 명령어를 사용합니다.
#스왑 비활성화
swapoff /swap_tmp/swapfile
#스왑 파일 삭제
rm /swap_tmp/swapfile
이 단계들을 완료하면, 스왑 파일이 정상적으로 설정되고, 시스템이 재부팅될 때마다 자동으로 활성화됩니다. 스왑 파일을 적절히 활용하면 시스템의 성능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서버에 톰캣 설치 후 403 오류 해결 방법(403 Access Denied) (0) | 2024.12.17 |
---|---|
Warning: Identity file ssh_key.pem not accessible: No such file or directory (0) | 2024.11.14 |
AWS에서 Access Key 발급받는 방법 (0) | 2024.11.10 |
Elastic IP 사용하기 (0) | 2024.11.10 |
Spring Boot로 EC2에 war파일 배포하기 (0) | 2024.11.07 |